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 사회부 강병규 기자입니다. <br> <br>Q1. 강 기자, 이번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원인으로 지목된 버드 스트라이크, 도대체 비행기에 얼만큼 충격을 주나요? <br><br>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시속 370km로 이륙 중인 항공기가 1kg 미만 무게의 새와 부딪혔을 때 5톤 수준의 충격이 기체에 가해진다고 하고요. <br> <br>1.8kg 무게의 새가 시속 960km로 비행 중인 항공기와 충돌하면 64톤 가까운 충격이 발생한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.<br><br>한 번 부딪히면 큰 충격이 기체에 가해지는데요. <br> <br>버드 스트라이크는 새가 날수 있는 지상 2.5km 이하 상공에서 자주 발생합니다. <br> <br>비행기가 가장 불안한 상태인 이륙 직후나 착륙 직전에 발생 가능성이 높아 조종사들에게는 긴장의 대상입니다. <br> <br>Q2. 무안공항 인근에 갯벌이 많다보니 버드 스트라이크 발생률이 많다는 관측도 나오나보군요? <br><br>무안공항 주변에는 크게 4곳에 총 113.34㎢ 면적의 갯벌습지보호구역이 만들어져 있는데요. <br> <br>이곳이 철새들의 중간 기착지 역할을 합니다.<br> <br>한국공항공사가 국회에 제출한 조류 충돌현황을 보면요. <br> <br>무안공항에서는 지난 5년간 총 10건의 버드 스트라이크가 발생했는데요. <br> <br>발생률도 0.09%로 인천공항을 제외한 국내 공항 14곳 중 가장 높았습니다. <br><br>같은 기간 이착륙한 항공기 대수가 비교적 많은 제주공항은 0.013%, 김포공항은 0.018%를 기록했습니다.<br> <br>Q3. 발생률에 비해 무안공항의 예방 설비도 부족했던 것으로 파악이 됐죠? <br><br>네, 2020년 당시 활주로 확장을 계획중인 무안공항 환경영향평가 보고서에는 새를 쫒기 위해 폭음기나 경보기 등을 설치하고, 레이저, 깃발, LED 같은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 조류 충돌을 최소화하라는 대응책을 제시했는데요. <br> <br>하지만 내년 완공 예정인 활주로 확장 사업이 끝나지 않았다는 이유로 아직 이런 대첵들 시행되지 않은 걸로 파악됐습니다. <br> <br>무안공항에는 새떼 탐지목적의 레이더나 열화상 탐지기가 설치돼 있지 않은 것으로 파악이 됐는데요. <br> <br>다른 국내 공항들도 사정은 비슷합니다. <br> <br>탐지레이더가 설치된 곳은 없고 열화상 탐지기가 있는 곳도 김포, 김해, 제주공항 정도에 불과합니다.<br> <br>이번 사고를 계기로 버드 스트라이크 예방 설비를 갖춰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데요. <br> <br>무안공항처럼 버드스트라이크 발생률이 높은 공항부터 시설 보완이 필수라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Q4. 버드 스트라이크를 방지하기 위해 국내, 해외 공항들은 어떤 방법을 씁니까? <br><br>우선 인천국제공항 사례를 영상으로 보실텐데요. <br> <br>공항 주변 논밭에 이렇게 앉아있는 철새 무리를 향해 녹색 레이저를 쏘자 새들이 날아갑니다. <br> <br>공포탄을 쏴서 활주로 주변으로의 접근을 막기도하는데요. <br> <br>산 중턱처럼 접근이 어려운 곳은 새들이 싫어하는 소리를 쏴서 몰아내는 음파 퇴치기를 쓰기도 합니다. <br> <br>미국에서는 로봇개를 새떼를 쫒는데 쓰기도 하는데요. <br> <br>미국 알래스카 페어뱅크스 국제공항에선 오로라라는 이름의 로봇개를 투입해 공항 주변 새를 쫓아내는 임무를 맡기기도 하는 등 다른 나라 공항들도 버드 스트라이크 예방에 전쟁을 벌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네 강병규 차장과는 잠시후 이야기 더 나눠보겠습니다.<br><br /><br /><br />강병규 기자 ben@ichannela.com